교회소식

교회안내   >   교회소식   >   공지사항

2025년 9월 26일(금)일자 조선일보에 우리 교회 관련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2025-09-26 11:42:52
운영자1
조회수   93

[조선일보 2025. 09. 26. 인터넷신문]

“하나님 앞에선 귀천 구분 없다”… 116년 전 양반·백정이 함께 앉았다

[개신교 선교 140주년 한국의 100년 교회를 가다]

<13> 진주교회와 호주 장로교

 

진주교회(오른쪽)과 비전관. 가운데 종탑은 진주 3.1운동의 신호탄이 된 진주교회 종소리를 기념해 세워졌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오른쪽)과 비전관. 가운데 종탑은 진주 3.1운동의 신호탄이 된 진주교회 종소리를 기념해 세워졌다. /김한수 기자
“오늘 밤 그의 안에 있는 사자는 길들여져 있었다(The lion in him was tame tonight).”

1909년 7월 31일. 경남 진주에 파송된 호주 장로교 여성 선교사 켈리는 선교본부에 이런 편지를 보냈다.
약 3개월간 진주교회를 극심한 내홍으로 몰아넣었던 ‘백정 동석(同席) 예배’ 파동이 좋은 결말을 맺었음을 보고하는 내용이었다.
격렬히 반대하던 교인의 우두머리 중 한 명이 희소식을 가져온 것.

 

1914년 진주 배돈병원에서 열린 호주 장로교 선교회 연례회의에 선교사와 가족들이 모였다. /진주교회 제공

1914년 진주 배돈병원에서 열린 호주 장로교 선교회 연례회의에 선교사와 가족들이 모였다. /진주교회 제공


발단은 그해 부임한 라이얼(1876~1921) 선교사의 방침이었다.
백정들에 대한 전도는 전임 커를(1871~1943) 선교사에 의해 시작됐지만 예배는 따로 드리고 있었다.
당시 백정에 대한 사회적 천대는 대단했다.
돈이 있어도 기와집·비단옷은 금지됐고, 어린이에게도 존댓말을 써야 했으며 길을 앞질러 가는 것조차 금지됐다.
안식년을 맞아 병원 건립 자금 마련을 위해 귀국한 커를 후임으로 온 라이얼은 신분 차이로 예배를 나누어 드리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봤다. 많은 신자가 “시기상조”라고 말렸으나 라이얼은 밀어붙였다.
5월 초 백정 15명이 예배에 참석했다. 난리가 났다. 교인 300명 중 200명가량이 교회를 떠났다.
당시 교회는 설립 4년 만에 주일 예배를 2부로 나눌 정도로 부흥하던 중이었는데 찬물을 끼얹은 셈.
라이얼 선교사는 흔들리지 않았다.
“하나님 앞에서는 존비귀천지별이 없다.” “사람을 기쁘게 함보다 하나님을 기쁘게 함이 옳다.”
“떠드는 많은 사람을 요구하지 않고 두세 사람이라도 참 믿는 자를 요구한다.”

 

1910년 호주 해외선교위원들이 진주를 방문해 기념촬영한 사진. 뒤에 보이는 건물이 1906년 건립된 예배당으로 이곳에서 백정 동석 예배가 이뤄졌다. /진주교회 제공

1910년 호주 해외선교위원들이 진주를 방문해 기념촬영한 사진.
뒤에 보이는 건물이 1906년 건립된 예배당으로 이곳에서 백정 동석 예배가 이뤄졌다. /진주교회 제공

 

진주교회를 설립한 호주 선교사들이 1913년 신축한 배돈병원. 진주를 비롯한 서부경남 지역에 서양식 근대 의학을 소개했다. /진주교회 제공

진주교회를 설립한 호주 선교사들이 1913년 신축한 배돈병원.
진주를 비롯한 서부경남 지역에 서양식 근대 의학을 소개했다. /진주교회 제공

 

‘강(强) 대 강’으로 치닫던 사태는 켈리와 스콜스 등 여성 선교사들이 양측을 오가며 설득에 설득을 거듭하면서 해결점을 찾았다.
백정들은 7월 25일 자신들의 예배처로 돌아갔고, 양반들이 교회로 돌아와 예배를 드렸다.
여기서 극적인 반전이 벌어졌다.
떠났던 교인들은 자기들 체면을 세워준 것을 고마워하며 7월 29일 회의를 열어 백정들과 함께 예배 드리기로 결정한 것.
마침내 1909년 8월 1일 역사적인 백정 동석 예배가 열렸다.
앞의 보고서는 이 동석 예배 직전 상황을 보고한 것.
이 사건은 1923년 백정들의 인권운동 ‘형평사운동’이 진주에서 태동하게 된 밑거름이 됐다.
진주교회 앞엔 형평운동기념사업회가 세운 표지판이 서있다.

 

진주교회에 설치된 '백정 동석 예배' 기념 표지판. 진주교회와 형평운동기념사업회가 세웠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에 설치된 '백정 동석 예배' 기념 표지판. 진주교회와 형평운동기념사업회가 세웠다. /김한수 기자


서부 경남 최초의 교회인 진주교회는 1905년 의사인 커를 선교사에 의해 세워졌다.
당시 진주는 ‘기생 수가 파리만큼 많다’(‘진주교회 연혁사’·1930년 발간)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선교사들은 복음과 근대 문명을 소개하며 진주 풍경을 바꿔 놓았다.
교회 설립 이듬해인 1906년 안동남학교와 정숙여학교를 세워 무료로 가르쳤고 1907년엔 서점(진양서관)도 열었다.

 

진주교회가 설립한 시원여학교의 1929년 졸업기념 사진. /진주교회 제공

진주교회가 설립한 시원여학교의 1929년 졸업기념 사진. /진주교회 제공

 

진주교회가 설립한 기독유치원 원생들과 교사들. /진주교회 제공

진주교회가 설립한 기독유치원 원생들과 교사들. /진주교회 제공

 

 

1930년대 진주 시가 전경. 주택가 중간에 진주교회(첨탑 건물)와 진주고(위쪽 운동장 있는 건물), 시원여학교(아래쪽 운동장 있는 건물)가 보인다. /진주교회 제공

1930년대 진주 시가 전경. 주택가 중간에 진주교회(첨탑 건물)와 진주고(위쪽 운동장 있는 건물),
시원여학교(아래쪽 운동장 있는 건물)가 보인다. /진주교회 제공


1911년엔 진주기독유치원, 1913년엔 배돈병원을 세웠다.
자녀에게 한글, 산수, 영어 등 신학문을 가르치기 위해 부모들이 선교사를 찾아왔고,
환자들도 서양 의사가 있는 배돈병원으로 몰렸다.
이렇게 ‘교육·의료 도시 진주’의 기틀이 마련됐다.
경술국치 때에는 교사와 학생이 하루 종일 통곡했고(한규상 ‘나의 조국 나의 교회’),
1919년 3월 18일 진주만세운동은 진주교회 종소리를 신호로 시작됐다.

호주 장로교는 미국 장로교에 비해 가난했다. 1942년까지 한국에 온 호주 선교사는 78명.
그중 여성이 54명으로 다수를 차지한 것도 미혼 여성 선교사들에게 지급하는 선교비가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이었다.
어려운 형편에서도 여성 선교사들은 배돈병원과 학교, 유치원에서 헌신적으로 봉사했다.
호주 선교사들이 ‘공창제(公娼制) 폐지 운동’에 앞장선 것도 이들이 배돈병원에서 여성들의 참혹한 현실을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진주교회 비전관 표지석. 진주교회를 설립한 호주 선교사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호주 대륙 지도 모양으로 제작됐다. 호주 선교사 후손들은 이 표지석을 보고 감동했다고 한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 비전관 표지석. 진주교회를 설립한 호주 선교사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호주 대륙 지도 모양으로 제작됐다.
호주 선교사 후손들은 이 표지석을 보고 감동했다고 한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는 호주 선교사들의 은혜를 잊지 않았다.
2011년 건립한 비전관의 영문 이름은 ‘커를 선교사 기념 비전 센터’로 지었고, 표지석은 호주 대륙 지도 모양으로 만들었다.
선교사 후손과의 교류도 이어지고 있다.
110주년 때에는 커를 선교사 외손자가 교회 초청으로 방문해 외할아버지의 여권을 기증했다.
정신과 의사 매클렐런 선교사의 딸 레이철은 1923년 진주에서 태어났는데,
2007년 호주에서 별세하면서 진주에 묻어 달라고 유언해 교회 묘지에 안장되기도 했다.

 

진주교회 정문엔 올해로 120년 된 이 교회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념 동판들이 설치돼 있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 정문엔 올해로 120년 된 이 교회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념 동판들이 설치돼 있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 게시판. 영아부부터 청년부까지 주일학교 일정이 빽빽할 정도로 이 교회는 주일학교가 활성화돼 있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 게시판. 영아부부터 청년부까지 주일학교 일정이 빽빽할 정도로 이 교회는 주일학교가 활성화돼 있다. /김한수 기자

 

진주교회 종탑 앞에 선 송영의 담임목사(왼쪽)와 조헌국 장로. 조 장로는 '진주에 뿌려진 복음' '호주 선교사 커를과 그의 동료들' 등의 저서로 진주교회 역사와 호주 장로교 선교사들의 업적을 알리고 있다. /김한수

진주교회 종탑 앞에 선 송영의 담임목사(왼쪽)와 조헌국 장로.
조 장로는 '진주에 뿌려진 복음' '호주 선교사 커를과 그의 동료들' 등의 저서로
진주교회 역사와 호주 장로교 선교사들의 업적을 알리고 있다. /김한수 기자

 

120년 전 선교사들이 어린이와 청소년을 돌봤듯이 교회는 다자녀 지원금과 장학 제도를 통해 미래 세대 양육에 힘쓰고 있다.
덕분에 주일학교가 활성화돼 매주 400~500명이 출석할 정도. 주일 예배 출석 인원도 900명에 이른다.
교회는 10월 18일 호주 장로교 선교 120주년을 맞아 학술 발표회와 교회 120년사 출판 감사 예배를 갖는다.
또 진주 시민들이 추진하는 호주 선교 역사관 건립에도 앞장서고 있다.

/진주=김한수 종교전문기자

김한수 기자 hansu@chosun.com

 

조선일보.png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